서울시, 개봉역 지구단위계획 결정(변경)(안) “수정가결”

  • 등록 2025.07.10 11:31:16
  • 조회수 1
크게보기

유동인구로 혼잡한 개봉역 광장 일대 보행 환경 개선 및 거점 기능 강화

 

서현일보 한예원 기자 | 서울시는 2025년 7월 9일 개최한 제12차 도시·건축공동위원회에서 '개봉역 지구단위계획 결정(변경)(안)'을 “수정가결” 했다고 밝혔다.

 

대상지는 2018년 개봉지구중심으로 지정된 지역으로, 간선도로인 경인로와 남부순환로에 연접하여 광역 접근이 양호하며, 개봉역을 품고 있는 지역 교통거점이다.

 

개봉역은 일평균 승객 약 2만 명이 승하차하고 버스노선 5개가 통과하는 교통거점으로 활력이 넘치는 반면, 버스 환승객 대기줄로 역앞 광장이 붐비고, 지하출 출입구도 협소하여 시민들의 통행이 불편한 곳이다.

 

또한 대상지를 포함한 인근 지역에 공동주택 개발사업이 활발하게 일어나 배후인구 약 10,000세대가 증가하는 등 주거중심지로 거듭나고 있다.

 

한일시멘트부지(센트레빌레우스 준공), 남부교정시설 이적지(고척 아이파크 준공), 개봉동 179-11 역세권청년안심주택(에드가 개봉 준공)을 비롯해 다수의 공동주택 개발사업으로 인해 유동인구가 지속적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금번 지구단위계획 재정비는 이러한 지역의 특수성과 최근의 여건 변화를 반영하여, 지구중심으로서의 위상을 높이는 데 초점을 두었다. 특히 개봉역 광장 환경을 개선하고, 주거지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관리계획을 마련함으로써 지역 활력을 재고하고 중심지로서의 거점 기능을 강화하고자 했다.

 

첫째, 개봉역 광장에 연접한 노후 건축물을 특별계획가능구역으로 지정하여 유동인구로 혼잡한 개봉역 일대 보행 환경을 개선하고자 했다. 버스정류장이 점유하면서 협소해진 광장을 확장하고, 지하철 출입구 신설로 통학·출퇴근 인구를 분산하는 계획을 수립했다. 또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공동주택 개발 수요를 고려해 문화·체육시설을 유도함으로써, 지역 주민의 삶의 질을 높이고 광장 일대를 지역 커뮤니티 중심공간으로 탈바꿈시킬 예정이다.

 

둘째, 군사시설(개봉레이더) 운용 종료에 따라 완화된 고도제한 및 주변 지역 개발로 인한 변화를 고려하여 높이 계획을 완화했다. 여건 변화에도 불구하고 간선부 60~70m, 이면부 40~50m로 제한됐던 높이를 간선부 120m, 이면부 100m로 재정비했다.

 

2019년 수도방위사령부 협의를 통해 지역일대 고도제한이 82m→165m로 완화된 이후, 센트레빌레우스(2020년 준공, 115m), 고척 아이파크(2022년 준공, 150m), 개봉역 역세권활성화 사업(2025년 철거, 120m) 등 변화된 인근 지역 높이를 고려하여 지구단위계획 구역 높이를 완화했다.

 

마지막으로 서울시 지구단위계획 수립기준 개정사항을 반영하여 용적률 체계를 개편하고, 불필요한 공동개발을 해제하는 등 규제로 인식되는 사항들을 개선하고자 했다.

 

조남준 서울시 도시공간본부장은 “이번 개봉역 지구단위계획 재정비를 통해 지역 거점 공간인 광장을 정비하고 규제로 인식되던 불필요한 사항들을 개선함으로써 지역이 활성화되고 주거중심지로서 거듭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한예원 기자 hanye0322@gmail.com
Copyright @서현일보 Corp. All rights reserved.


주소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명지로116번길 9-70 (남동,명지엘펜하임) 107동 1002호 등록번호: 경기,아53170 | 등록일 : 2022-02-15 | 발행인 : 김현욱 | 편집인 : 김현욱 | 전화번호 : 010-9930-7703 Copyright @서현일보 Corp. All rights reserved.